***
1948.07.24. 이승만 정부 출범
1956.02.03. 한.미국 원자력협정 체결.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의 원자력 비군사적 사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36호
1956.03.09. 문교부 원자력과 신설. 정부는 문교부 기술교육국에 원자력의 연구개발과 이용을 담당하는 부서를 신설, 원자력법 제정·전담 행정기구의 조직과 직제구성·연구소의 직제구성·연구용 원자로의 노형선정 및 건설 등 수행
1957.08.08. 국제원자력기구 가입. 한국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
1958.02.01.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신설. 국내 대학 최초 원자력공학과 신설
1958.02.14. 원자력발전 8개년계획 수립. 정부는 원자력발전 8개년 계획을 수립
1958.03.11. 원자력법 공포. 원자력법(법률 제483호) 제정 및 시행, 미국과 영국·일본 등 토대로 법률 전문가 자문을 받아 원자력법을 제정
1958.03.24. 한.미국 원자력협정 개정.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에 원자력의 비군사적 사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수정 서명, 05.22.발효..조약 제45호
1959.01.21. 원자력원 발족. 문교부의 원자력과를 확대하여 원자력원 출범, 원자력의 연구·개발·생산·이용관리 등을 관장
1959.02.03. 원자력연구소 설립. 서울 공릉동에 한국 원자력원 산하 원자력연구소 설립
1959.07.05. 연구용원자로 도입. 정부는 미국 제너럴 아토믹사로부터 연구용 원자로 TRIGA Mark-II(100kw급)를 도입, 원자로 가격 73만1천달러, 인천항에서 경기도 양주군 원자력연구소로 이송, 07.14.기공식
1959.07.14. 연구용원자로 착공. 경기 양주군 원자력연구소내 국내최초로 원자로(100kw급) 기공, 대통령 기공식 참석
1960.02.22. 원자력 개발 의지 표명. 이승만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원자력 개발에 대한 의지를 표명
1960.02.22. 한.IAEA 기술원조조약 체결. 한국과 국제원자력기구(IAEA)간의 기술 원조에 관한 각서교환, 발효..조약 제79호
1960.03.18. 연구용원자로 1호기 설치공사 완공.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연구용원자로 1호기(TRIGA Mark-II) 완공
1962.03.19. 연구용원자로 1호기 점화. 경기도 양주군 원자력연구소에서 연구용 원자로(TRIGA Mark-II) 첫 점화. 03.23.정격 열출력 100kWt 도달
1962.03.30. 연구용원자로 1호기 준공. 경기도 양주군 원자력연구소에서 연구용 원자로(TRIGA Mark-II) 준공
1963.11.06. 방사선의학연구소 진료 개시. 국내 최초의 암 병원인 방사선의학연구소를 설립해 암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본격화
1963.12.17. 박정희 정부 출범
1963.12.17. 방사선의학연구소 개소. 서울 서대문구 정동에 원자력원에서 분리하여 방사선의학연구소 출범, 방사성동위원소 연구실·방사선위생 연구실·병리학 연구실 등 3개 연구실과 13개 임상학과를 둔 부속병원으로 구성
1965.06.25. 한.미국 원자력협정 연장.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의 원자력의 비군사적 사용을 위한 협력협정 수정 서명,1966.01.28.발효..조약 제184호, 10년 연장
1966.11.30. 방사선농학연구소 설립. 유전육종학·생리영양학·작물가축보호학·식품공학 등 4개 전문연구실로 구성
1967.03.30. 원자력청 발족. 원자력의 연구·개발·생산·이용관리 등을 관장, 원자력원이 원자력청으로 개편, 산하에 원자력연구소·방사선의학연구소·방사선농학연구소 등 3개 연구소를 둠
1967.04.21. 과학기술처 출범. 원자력원·중앙관상대·국립지질조사소 등을 흡수·통합하여 출범. 4월 21일 과학의 날 지정
1968.01.05. 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 발표. 정부는 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을 발표
1968.02.10. 방사선의학연구소 암병원 설립. 1968년 36병상에서 1969년 60병상으로 확장, 1972년까지 진료환자 수는 48만 명에 달함
1968.04.09. 원자력발전 기관역할 결정. 원자력발전추진위원회는 원자력발전소 건설·운영은 한국전력, 원자력발전 기술개발·안전규제·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관리·기술자양성 등은 원자력청이 담당하도록 함
1968.04.18. 연구용원자로 2호기 기공. 정부는 서울 공릉동에서 연구용원자로(TRIGA Mark-III)을 기공, 1972,05.10.준공
1968.07.01. 핵확산금지조약 서명. 핵무기의 비확산에 관한 조약(NPT) 체결, 1975.04.23.발효
1969.03.08. 한국원자력학회 창립. 원자력에 관한 학술 및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술단체 설립
1969.04.12. 연구용원자로 2호기 착공. 연구용원자로 2호기 TRIGA Mark-III 착공, 총 건설비 27억원 투입
1969.06.24. 연구로 1호기 출력 증강 완료. 1967년부터 연구로 1호기의 출력을 250kWt로 증강 완료
1969.10.02. 고리 1호기 건설계획 확정. 1972.05.31.건설 및 운영허가, 1978.04.29.준공, 2017.06.18.영구정지
1970.06.22. 한.미국 차관계약 체결(1970년). 한국과 미국 간의 원자력발전소와 인천화력발전 3호기 건설 위한 7,387만 5천 달러 차관 계약 체결
1971.03.19. 고리원전 1호기 착공. 경남 동래군에 59만5천kw의 고리원전 1호기 기공, 차관 1억3천40만 달러/내자 4500만 달러 투입, 1978.07.20.준공
1971.05.07. 신장기에너지 종합대책 수립. 정부는 신장기에너지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계획
1972.05.10. 연구용원자로 2호기 준공. 연구용 원자로 2호기(TRIGA Mark-III, 출력 2㎿) 준공, 총예산 9억 5,400만원
1972.11.24. 한.미국 원자력협정 체결(1972년).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의 원자력의 민간 이용에 관한 협정 서명, 발효(1973.03.19.)..조약 제474호
1973.02.05. 원자력국 신설. 과학기술처 직제 개정으로 원자력청을 폐지하고 원자력국을 신설
1973.02.17. 한국원자력연구소 발족. 원자력연구소·방사선의학연구소·방사선농학연구소가 통합하여 한국원자력연구소로 통합 및 민영화함
1973.02.17. 원자력병원 정식 출범. 방사선의학연구소는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속 원자력병원으로 정식 출범
1974.05.15. 한.미국 원자력협정 개정(1974년).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의 원자력의 민간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개정 및 연장 서명, 06.26.발효..조약 제506호
1974.05.31. 장기에너지종합대책 발표. 7 년간 석탄 비중을 30% 축소, 4개의 원자력과 5개의 수력발전소 건설, 수력 20.9%, 원자력 24%, 화력 55.1% 목표(1981)
1974.10.19. 한.프랑스 원자력협정 체결(1974년). 파리에서 한국과 프랑스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상호협력에 관한 각서교환, 발효..조약 제516호. 1950년대 이스라엘도 프랑스 핵기술 이전으로 핵무기 보유
1975.10.01. 한국원자력기술 설립. 국산 에너지 기술 자립을 목표로 한국원자력기술(한국전력기술)을 설립. 원전 종합설계와 원자로계통설계 기술 보유
1975.10.31. 한.IAEA 핵무기비확산조약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IAEA 간의 핵무기 비확산에 관한 조약(NPT)에 관련된 안전조치의 적용을 위한 협정 서명. 11.14.발효..조약 제550호
1976.01.26. 한.캐나다 원자력협정 체결(1976년). 서울에서 한국과 캐나다 간의 원자력의 개발 및 응용에 있어서의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563호
1976.12.01. 한국핵연료개발공단 발족. 원자력 발전에 소요되는 핵연료의 안전 공급을 위한 정련·전환·가공 및 연구 개발 업무를 수행
1976.12.10. 한.스페인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한국과 스페인 간의 원 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개발 및 응용에 관한 협정 체결
1977.01.17. 고리 2호기 원전 건설 계약 체결. 정부는 미 웨스팅하우스사 등과 고리 2호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약 체결
1977.03.01. 고리원전 2호기 착공.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고리원전 2호기 착공, 원자로 건물 기초굴착을 시작, 가동(1983.07.25.)
1977.06.15. 월성원전 1호기 착공. 경북 월성군 양남면 나아리에 월성원전 1호기 착공, 1983.04.22.준공
1978.04.29. 고리원전 1호기 가동. 국내 최초로 부산 기장군에서 587MW급 가압경수로(PWR) 고리 1호기를 가동, 세계 21번째 원자력발전소 보유국, 2017.06.18.영구정지
1978.07.20. 고리원전 1호기 준공. 고리 원자력발전 1호기 준공, 대통령 준공식 참석, 발전용량 58만 7천㎾, 1560억원, 세계 21번째 핵발전국, 2017.06.18.영구정지
1978.07.20. 고리원전 3호기·4호기 기공. 19 85.09.30.고리3호기 가동, 1986.04.29.고리4호기 가동, 1986.06.02.고리3호기 준공, 1986.06.02.고리4호기 준공
1978.10.16. 핵연료성형가공시험시설 준공. 한국에너지연구소에 핵연료성형가공 시험공장을 완공
1979.04.09. 고리원전 3호기 착공.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고리 3호기 착공, 1985.09.30.가동, 1986.06.02.준공
1979.04.09. 고리원전 4호기 착공.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고리 4호기 착공, 1986.04.29.가동, 95만kW.가압 경수로형(PWR)
1979.04.24. 원전 10기 건설계획 발표. 정부는 1987년~1991년 원자력발전소 10기 건설계획 발표
1979.05.02. 한.호주 원자력협정 체결. 캔버라에서 한국과 호주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있어서의 협력 및 핵물질의 이전에 관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683호
1979.06.12. 울진원자력발전소 기공. 울진 부구리에 원자력발전소 9, 10호기 건설 확정
1979.12.06. 최규하 정부 출범
1980.09.01. 전두환 정부 출범
1980.12.10. 영광원전 1·2호기 착공. 전남 영광군 홍농읍에 96만kW급 영광 1·2호기(한빛 1·2호기) 착공, 19 86.08.25.영광1호기 가동, 1987.06.10.영광2호기 가동
1980.12.19. 한국에너지연구소 발족. 한국원자력연구소와 한국핵연료개발공단이 통합하여 한국에너지연구소 발족
1981.01.05. 한국과학기술원 설립. 한국과학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통합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발족
1981.02.19. 영광원전 1·2호기 기공. 전남 영광에 국내 최대 원전단지 조성공사 시작
1981.03.03. 한.벨기에 원자력협정 체결. 한국과 벨기에 간의 핵에너지 협력에 관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738호
1981.04.04. 한.프랑스 원자력협정 체결(1981년). 서울에서 한국과 프랑스 간의 원자력 이용에 관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742호
1981.12.21. 원자력안전센터 설치. 한국에너지연구소 산하에 원자력안전규제 전담기구를 설립
1982.01.04. 한국전력공사 발족. 한국전력공사법에 의거하여 한국전력공사로 변경
1982.03.05. 울진원전 1·2호기 착공. 경북 울진군 북면에 95만kW급 울진 1·2호기(한울 1·2호기) 착공
1982.04.17. 우라늄 정련·변환시설 준공. 연간 100톤의 생산규모, 1979.05.06.착공
1982.07.06. 한국전력기술 개편. 한국원자력기술을 한국전력기술로 개편
1982.08.15. 월성원전 1호기 핵연료 장전. 월성원자력 1호기 최초 핵연료 장전 착수
1982.11.11. 한국핵연료 설립. 한국전력은 핵연료사업을 주관하는 한국핵연료를 설립
1983.04.20. 한.캐나다 원자력협정 체결(1983년). 서울에서 한국과 캐나다 간의 원자력 공동 조정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양해 각서 서명, 발효..조약 제810호
1983.04.22. 월성원전 1호기 가동.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679MW급 가압중수로(CANDU) 월성 1호기 가동 및 준공, 사업비 6,428억원, 2019.12.24.영구정지
1983.09.09. 고리원전 2호기 준공. 부산 기장군에 고리원전 2호기 준공, 650MW 가압경수로(PWR), 사업비 5916억원
1984.10.22. 원자력병원 개원.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병상 500개 규모의 원자력병원을 개원
1985.08.26. 가압경수로핵연료 기술도입계약 체결. 정부는 독일과 핵연료 기술도입계약을 체결, 1986.01.10.발효
1985.09.30. 고리원전 3호기 가동. 부산시 기장군에 950MW급 가압경수로(PWR) 고리 3호기 가동, 사업비 5259억원
1986.04.11. 한.독일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본에서 한국과 독일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879호
1986.04.29. 고리원전 4호기 가동. 부산시 기장군에 950MW급 가압경수로(PWR) 고리 4호기 가동, 사업비 5259억원, 06.02.준공
1986.06.02. 고리원전 5, 6호기 완공. 경남 양산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5·6호기 완공
1986.08.25. 영광원전 1호기 가동. 전남 영광군에 950MW급 가압경수로(PWR) 영광 1호기(한빛 1호기) 가동, 1조222억원
1986.09.26. 핵사고에 관한 국제협력 증진 협정에 서명. 국제 원자력기구 특별회의(빈)에서 참가국들이 핵사고에 관한 국 제협력 증진 협정에 서명
1987.03.07.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성공. 중수로용 핵연료개발 국산화 성공으로 핵연료 가공 기술을 보유
1987.06.10. 영광원전 2호기 가동. 전남 영광군에 950MW급 가압경수로(PWR) 영광 2호기(한빛 2호기) 가동 및 준공, 사업비 1조 222억원, 06.23.준공
1988.02.25. 노태우 정부 출범
1988.09.10. 울진원전 1호기 가동. 경북 울진군에 950MW급 가압경수로(PWR) 울진 1호기(한울 1호기) 6년 7개월 만에 가동, 사업비 1조600억원
1988.12.28. 원자력연료 제1호 제작 완료. 원자력 발전 경수로용 핵연료 국산화에 성공, 1989.01.01.생산개시, 1990.02.17.고리2호기 장전
1989.04.01. 울진원전 3호기 착공. 경북 울진군 북면에 울진 3호기(한울 3호기) 착공, 1998.08.11.가동
1989.06.01. 영광원전 3호기 착공. 전남 영광군 홍농읍에 영광 3호기(한빛 3호기) 착공, 1995.03.31.가동
1989.06.01. 영광원전 4호기 착공. 전남 영광군 홍농읍에 영광 4호기(한빛 4호기) 착공, 1996.01.01.가동
1989.09.28. 경수로 원자력연료 가공공장 준공. 연산 200톤 규모의 경수로 원자력연료 가공공장 준공
1989.09.30. 울진원전 2호기 가동. 경북 울진군에 950MW급 가압경수로(PWR) 울진 2호기(한울 2호기) 가동, 사업비 1조600억원, 1982.03.05.착공
1990.02.15.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설립. 국제안전규제제도 기본원칙에 따라 원자력연구소에서 분리 독립
1990.02.17. 국산 원자력연료 최초 장전. 국산 원자력연료를 고리원자력 2호기에 최초 장전, 1988.12.28.원자력연료 제작완료
1990.02.27. 울진원전 1·2호기 준공. 울진원자력 1·2호기 착공 8년 9개월 만에 준공
1990.07.19. 한국표준형 원전건설 계획 확정. 제 255차 원자력위원회는 한국표준형 원전건설을 위한 사업계획을 확정
1991.10.09. 월성원전 2호기 착공.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700MW급 월성 2호기 착공, 1997.07.01.가동
1991.11.27. 한.영국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영국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발효..조약 제1073호
1992.05.27. 울진원전 3·4호기 착공. 경북 울진군 북면에 울진 3·4호기(한울 3·4호기) 착공, 1995.04.08. 3호기 원자로 설치, 1998.08.11.울진3호기 가동, 1999.10.01.울진4호기 가동
1992.06.26.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계획 수립.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계획(1992~2001) 수립·시행
1992.11.12. 월성원전 3, 4호기 기공.
1993.02.25. 김영삼 정부 출범
1993.08.01. 경수로 원자력발전기술 이전 참여. 정부는 북핵 문제 조기 해결 위해 경수로 원자력발전기술 이전 참여 결정
1994.10.31. 한.중국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중국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발효(1995.02.11.)..조약 제1269호
1995.03.31. 영광원전 3호기 가동. 전남 영광군 홍농읍에 1000MW급 가압경수로(Sytem80) 영광 3호기(한빛 3호기) 가동, 사업비 1조 6664억원
1995.04.07.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준공. 세계최고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HANARO) 준공
1995.04.08. 울진원전 3호기 완공. 한국표준형경수로 울진 3호기(100만㎾급) 완공, 1997.11.11.핵연료장전, 1998.08.11.상업운전 개시
1995.09.21. 한국 IAEA 이사국 선출. 한국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국에 선출
1995.11.20. 한.베트남 원자력협정 체결. 하노이에서 한국과 베트남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1997.01.06.발효..조약 제1364호
1996.01.01. 영광원전 4호기 가동. 전남 영광군, 가압경수로(Sytem80·1000MW), 1조6664억원, 1989.06.01.착공
1996.09.24. 영광원전 5호기 착공. 전남 영광군 홍농읍에 영광 5호기(한빛 5호기) 착공, 100만kW*2기.가압 경수로형(PWR) 2002.05.21.가동
1996.09.24. 영광원전 6호기 착공. 전남 영광군 홍농읍에 영광 6호기(한빛 6호기) 착공, 100만kW*2기.가압 경수로형(PWR) 2002.12.24.가동
1996.10.19. 영광원전 3·4호기 준공. 전남 영광군에 1000MW급 영광 3·4호기(한빛 3·4호기) 준공
1996.10.19. 영광원전 5·6호기 착공. 전남 영광군에 영광원전 5·6호기 착공, 2003.02.22.준공
1997.07.01. 월성원전 2호기 가동. 경북 경주시에 가압중수로(CANDU·700MW) 월성 2호기 가동, 1조 3,300억원
1997.07.01. 원자력안전위원회 설립. 원자력 안전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설립
1997.08.02. 원자력병원 PET 도입 가동. 원자력병원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PET) 도입 가동
1997.09.08. 울진원전 5·6호기 착공
1997.09.09. 한.아르헨티나 원자력협정 체결.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한국과 아르헨티나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 협정 서명, 9.19.발효..조약 제1421호
1998.02.25. 김대중 정부 출범
1998.07.01. 월성원전 3호기 가동. 경북 경주시에 가압중수로(CANDU·700MW) 월성 3호기 가동, 사업비 6428억원
1998.08.11. 울진원전 3호기 가동. 경북 울진군에 1,0 00MW급 가압경수로(OPR-1000) 울진 3호기(한울 3호기) 가동, 사업비 1조6700억원
1999.01.04. 울진원전 5호기 착공. 경북 울진군 북면에 울진 5호기(한울 5호기) 착공, 2004.07.29.가동, 2013.05.18.한울 5, 6호기 명칭 변경
1999.01.04. 울진원전 6호기 착공. 경북 울진군 북면에 울진 6호기(한울 6호기) 착공, 2005.04.22.가동
1999.05.28. 한.러시아 원자력협정 체결. 모스크바에서 한국과 러시아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에 관한 협정 서명, 10.08.발효..조약 제1495호
1999.10.01. 월성원전 4호기 가동.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가압중수로(CANDU·700MW*3기) 월성 4호기 가동
1999.12.31. 울진원전 4호기 가동. 경북 울진군에 1,000MW급 가압경수로(OPR-1000) 울진 4호기(한울 4호기) 가동, 사업비 1조 6700억원, 2000.02.24.준공
2001.01.18. 한.브라질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브라질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05.07.25.발효..조약 제1741호
2001.03.16. 한.체코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체코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06.01.발효..조약 제1563호
2001.07.10. 한.우크라이나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키예프에서 한국과 우크라이나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07.06.11.발효..조약 제1858호
2001.08.14. 한.이집트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카이로에서 한국과 이집트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02.06.24.발효..조약 제1599호
2002.02.27. 월성원전 3·4호기 준공. 경북 경주시에 70만㎾급의 가압중수로형 월성 3·4호기 준공
2002.05.02. 신형 원자로 표준설계 인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신형경수로(APR-1400) 표준설계 인가, 1400만KW급, 수명 60년, 내진 7.0 설계, 개발기간(1992.06.~2001.05), 개발비 2350억 투입
2002.05.21. 영광원전 5호기 가동. 전남 영광군에 1000MV급(OPR-1000) 영광 5호기(한빛 5호기) 가동, 사업비 2조1000억원, 1996.09.24.착공
2002.09.04. 원자력의학원 출범.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설 원자력의학원 출범
2002.09.26.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개소. 원자력의학원 산하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개소
2002.11.12. 한.칠레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칠레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발효(2006.09.03.)..조약 제1805호
2002.12.24. 영광원전 6호기 가동. 전남 영광군에서 가압경수로(OPR-1000.100만 kW급*2기) 영광 6호기 가동, 사업비 2조1000억원
2003.02.04. 방폐장 후보지 선정. 정부는 경북 울진과 전남 영광 등 네 곳을 원자력발전소 방사성 폐기물 보관 후보지로 선정
2003.02.25. 노무현 정부 출범
2004.02.03. 한.루마니아 원자력협정 체결. 부카레스트에서 한국과 루마니아 간의 산업 및 연구·개발 분야에서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09.06.발효..조약 제1682호
2004.07.29. 울진원전 5호기 가동. 경북 울진군에 1, 000MW급 가압경수로(OPR-1000) 울진 5호기(한울 5호기) 가동, 사업비 2조 2000억원, 1999.01.04.착공
2004.09.20. 한.카자흐스탄 원자력협정 체결. 아스타나에서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10.08.23.발효..조약 제2027호
2004.12.17. 중저준위 분리 추진. 원자력위원회는 중저준위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분리 추진
2005.01.17. 신고리원전 1호기 착공.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100만kW.가압경수로형(OPR1000) 신고리 1호기 착공, 가동(2011.02.28.)
2005.01.17. 신고리원전 2호기 착공.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100만kW.가압경수로형(OPR1000) 신고리 2호기 착공, 가동(2012.07.20.)
2005.02.23. 연료봉 200만개 생산 돌파. 한전원자력연료는 원자력 연료봉 200만개 생산을 돌파
2005.04.22. 울진원전 6호기 가동. 경북 울진군에 1,0 00MW급 가압경수로(OPR-1000) 울진 6호기(한울 6호기) 가동, 사업비 2조2000억원, 1999.01.04.착공
2005.06.08. 신한울원전 1·2호기 건설기본계획 확정. 국내 원전 최초 완전 국산화 달성
2006.04.28. 신월성 1·2호기 착공. 경북 경주시 양북면에 건설, 총 공사비 약 4조7천억원 투입, 2015.11.09.준공
2006.06.30. 방사선의학연구센터 준공. 서울 공릉동에 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준공
2006.12.04. 한.인도네시아 원자력협정 체결. 자카르타에서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11.10.24.발효..조약 제2063호
2007.03.27. 한국원자력연구원 설립. 한국원자력연구소가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발족
2007.03.26. 한국원자력의학원 출범. 사선의 의학적 이용과 연구개발, 암진료, 국가적인 방사선 비상진료 업무를 수행, 산하에 원자력병원과 방사선의학연구센터,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두고 있음
2007.09.13. 신고리원전 3호기 착공.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에 140만kW.가압 경수로(APR1400) 신고리 3호기 착공, 가동(2016.12.20.)
2007.09.13. 신고리원전 4호기 착공.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에 140만kW.가압 경수로(APR1400) 신고리 4호기 착공, 가동(2019.08.29.)
2007.09.14. 한국형 핵융합로 완공. 대전시 유성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한국형 핵융합로(KSTAR)를 세계에서 6번째 완공
2007.11.09.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 착공. 경주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착공, 2015.08.28.준공
2007.11.28. 신고리원전 3·4호기 착공.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에 1400MV급(APR1400) 신고리 3·4호기 착공
2007.12.11. 고리원전 1호기 10년 연장. 고리 1호기 10년 연장 운전 허가
2008.02.25. 이명박 정부 출범
2008.12.01. 한.요르단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요르단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09.05.05.발효..조약 제1946호
2009.02.27. 새울원전 3·4호기 건설기본계획 확정. 울산 울주군에 시설용량 1,400MW급 새울 3·4호기 건설기본계획 확정
2009.06.22. 한.UAE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두바이에서 한국과 아랍에미리트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10.01.12.발효..조약 제1988호
2009.12.27. UAE 원자력발전소 수주. 한전 컨소시엄이 400억 달러(약 47조원)규모의 아랍에미리트 원자력발전소 프로젝트를 수주, 규모 1400MW급 원전 4기, 원자력기술 해외수출
2010.04.30. 신한울원전 1·2호기 착공. 경북 울진군 북면에 가압 경수로(APR1400) 신한울 1·2호기 착공, 2022.12.07.1호기 가동, 2023.09.30.2호기 가동
2010.10.08. 한.남아공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남아공 간의 원자력협력협정 서명, 2011.02.24.발효..조약 제2036호
2010.12.20. 한.일본 원자력협정 체결. 도쿄에서 한국과 일본 간의 원자력협력협정 서명, 2012.01.21.발효..조약 제 2074호
2011.02.28. 신고리원전 1호기 가동. 부산 기장군에 가압경수로(OPR-1000·1000MW) 신고리 1호기 가동, 사업비 2조3500억원, 2005.01.17.착공
2011.03.10.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
2011.07.25. 한.인도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인도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10.12.발효..조약 제2061호
2011.07.25. 원자력안전법 제정. 원자력안전법(법률 제10911호) 제정, 10.26.시행
2011.11.15. 한.사우디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12.08.14.발효..조약 제2101호
2012.06.17. 한.멕시코 원자력협정 체결. 로스카보스에서 한국과 멕시코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13.07.14.발효..조약 제2140호
2012.07.04. 일체형 원자로 SMART 독자 개발. 세계 최초 표준설계인가 획득, 인구 10만명 도시에 전력 생산과 해수담수화가 동시에 가능한 일체형 원자로, 1700억원 투자
2012.07.20. 신고리원전 2호기 가동. 부산 기장군에 가압경수로(OPR-1000·1000MW) 신고리 2호기 가동, 사업비 2조3500억원, 2005.01.17.착공
2012.11.21. UAE 바카라원전 1·2호기 착공. UAE 바라카에 한국형원전(APR1400) 1·2호기 착공, 대통령 착공식 참석
2013.02.05. 박근혜 정부 출범
2013.05.08. 원전 명칭 변경. 한수원은 영광원전을 한빛원전으로, 울진원전을 한울원전으로 변경
2013.10.18. 한.헝가리 원자력협정 체결. 서울에서 한국과 헝가리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 서명, 2014.01.18.발효..조약 제2170호
2013.10.23. 한.핀란드 원자력협정 체결. 헬싱키에서 한국과 핀란드간의 원자력협력협정 서명, 2015.01.01.발효..조약 제2217호
2014.01.14. 에너지기본계획 확정. 정부는 원자력발전소를 추가 건설하는 에너지기본계획을 확정
2014.04.18. 신한울 원전 1호기용 원자로 출하. 두산중공업이 신한울 원전 1호기용 원자로 창원공장 통해 출하
2014.09.20. 신고리원전 4호기 가동. 울산 울주군에서 가압경수로(APR-1400) 신고리 4호기를 가동
2014.11.03. 네덜란드 연구용 원자로 계약 체결. 네덜란드 연구용 원자로 개선사업(OYSTER) 계약 체결, 유럽에 원자력 기술 수출, 1900만 유로(250억원)
2014.12.15. 한수원 해킹 사건. '킴수김' 트위터 닉네임의 해커가 원자력발전소의 도면 등 극비자료를 공개
2015.03.04. 신형경수로 NRC 사전심사 통과. 한 국수력원자력이 개발한 신형경수로 'APR1400'의 원전 설계가 사상 처음으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사전심사 통과
2015.06.15. 한.미국 원자력협정 체결.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 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협정 서명, 11.25.발효..조약 제2262호
2015.06.16. 고리 1호기 영구정지 결정. 한 국수력원자력은 국내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최종 결정
2015.08.28. 경주 방폐장 준공.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인 '경주 방폐장'을 준공. 총사업비 1조 5천436억 원 투입, 2007.11.09.착공
2015.11.09. 신월성 1·2호기 준공. 경주 양남면에 한국의 23, 24번째 1000MW급 신월성 1·2호기 준공
2015.11.25. 한미원자력협정 발효. 한 ·미 원자력협정 정식 발효, 우라늄 저농축·파이로프로세싱 추진경로 마련돼 연구자율성 확대
2016.06.28. 신한울원전 3·4호기 착공. 울산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에 신한울 3·4호기 착공, 2019.11.28.원자로 설치, 가압경수로(PWR)·신형경수로(APR1400)
2016.06.28. 신고리원전 5·6호기 착공. 울산 울주군에서 신고리 5·6호기 착공
2016.12.20. 신고리원전 3호기 가동. 울산 울주군에 1400MW 가압경수로(APR-1400) 신고리 3호기 가동, 사업비 3조3000억원, 2007.09.13.착공
2017.05.01. UAE 원전 1호기 준공. UAE 바라카에 한국형 원전 1호기(APR1400)를 준공
2017.05.10. 문재인 정부 출범
2017.06.19. 탈원전 선언. 문재인 대통령은 신규 원전 건설계획 전면 백지화, 원전정책 재검토
2017.06.19.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선포. 한국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고리 1호기가 영구 가동정지, 대통령 선포식 참석
2017.06.27. 신고리 5·6호기 공사 일시중단.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공사를 3개월간 일시 중단하고 공사여부를 공론화 추진
2017.07.24. 신고리 공론화위원회 출범. 정부는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시민참여단 471명이 참여하는 3개월간의 공론화과정을 진행
2017.09.11. 시민참여단 선정. 신고리 원전 5·6 호기의 공사 중단 또는 재개 여부를 결정할 시민참여단 500명이 선정
2017.12.29. 제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확정. 신규원전 6기 건설 백지화, 노후석탄발전소 10기 폐쇄
2018.06.15. 제8차 전력수급계획 후속조치 의결. 한 국수력원자력은 월성 1호기 조기폐쇄 및 신규 원전 4기(천지 1·2호기, 대진 1·2호기) 건설 영구 중단을 의결
2018.07.31. 영국 원전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 150억파운드(약 22조원) 규모의 무어사이드 원전사업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
2019.04.30. 한국형 원전 최고 안정성 인증 획득. 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한국형 원전이 세계 최고 안전성 인증을 획득
2019.08.27. 한국형 신형 경수로 설계인증 획득. 한국형 신형 경수로인 APR1400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설계인증을 취득
2019.08.29. 신고리원전 4호기 가동. 울산 울주군에 140 만kW.가압 경수로(APR1400) 신고리 4호기 가동, 2007.09.13.착수
2019.12.24. 월성원전 1호기 가동정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월성 원전 1호기의 영구정지를 결정
2021.07.09. 신한울 1호기 조건부 운영 허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경북 울진 신한울 1호기를 조건부 운영 허가, 발전량 1천400MW급·수명 60년
2021.09.27. 한국 IAEA 의장국 선출. 한국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 의장국으로 선출, 2022년 9월까지 수행
2022.05.10. 윤석열 정부 출범
2022.08.25. 이집트 엘다바 원전 수주. 한국수력원자력은 3조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 프로젝트 수주, 1200MW급 원전 4기 건설
2022.11.01. 원자력발전소 호기명칭변경. 신고리 3·4·5·6호기가 새울 1·2·3·4호기로 변경, 신고리 1, 2호기는 유지
2022.12.07. 신한울원전 1호기 가동. 경북 울진에 140만kW.가압 경수로형(APR1400) 신한울 1호기 가동, 착공( 2010.04.30)
2023.09.30. 신한울원전 2호기 가동. 경북 울진에 140만kW.가압 경수로형(APR1400) 신한울 2호기 가동, 착공( 2010.04.30)
2023.11.01. 국가방사능방재 연합훈련 실시(2023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남 영광군 소재 한빛원전의 방사능누출 사고 가정하여 중앙부처‧지자체 및 지역주민 2,700여명이 참여
4.19혁명 정리 (8) | 2024.11.15 |
---|---|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0) | 2024.06.27 |
임진왜란(1592년 ~ 1598년) (0) | 2020.11.09 |
좌익의 역사 (0) | 2020.08.19 |
6.25 한국전쟁 연표 (0) | 2020.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