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08.22. 한일합방조약 조인, 조선총독부 설치(08.29)
1910.03.14.~1918.06.18. 조선토지조사사업 시작, 총면적 2300만 헥타르
1911.06.20. 삼림령(森林令) 공포(保安林, 영림감독제 등)
1911.04.17.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1912.03.05. 삼림(森林) 임야 및 未간지 國有, 私有 구분의 표준을 정함. 국유삼림산야보호규칙 공포,
1912.03.26. 조선부동산등기령 시행, 조선 민사령
1912.08.13. 土地 조사령 및 시행규칙 공포(조선총독부는 전 국토의 40%에 해당하는 전답과 임야를 차지하는 大地主가 됨)
1914.04.25. 토지대장규칙 공포
1914.05.22. 農工은행令, 地方금융조합令 공포
1915.02. 미곡검사규칙 공포
1917. 大邱조합令 공포
1918.06.18. 총독부 土地調査事業完了
1918.08.16. 곡류수용令 공포
1918.05.01. 조선임야 조사령 제정, 전국 林野조사 시작
1918.06.18. 토지조사사업 완료
1919.03.01. 3·1독립만세운동
1919.04.13. 上海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11.05. 임시정부 내무부에 농상공국 설치
1920. 산미증식계획 실시 ▷권업모범장에서 농림전문학교 분리
1920.~1925. 제1차 産米증식계획, 토지개량사업과 농사개량사업에 의한 미곡증산
1921.04.01. 연초(煙草) 전매令 공포, 연초전매 실시(07.01)
1921.07.25. 전매국 설치
1922.03.25. 임업시험장 설치
1923.03.13. 조선 공유수면매립령 제정, 연안을 매립해 농지로 개간
1923.10.21. 조선박물학회 설립, 광물학, 생물학, 생태학 등
1925.07.15.~07.18. 乙丑 大水害, 태풍 2560호, 사망.실종 516명
1926.04.01. 조선도량형令 공포(미터法 시행)
1926.~1934. 제2차 산미증식계획
1926.03. 각종 농업관련 단체를 통합한 조선농회 설립
1927.01.22. 연초전매령 개정 공포 (자가용 연초와 민간 荒㧡 연초 폐지)
1927.05. 함경남도 흥남에 조선비료회사 설립
1929.06.05. 광릉(光陵)에 임업시험장 出張所 설치
1929.09.17. 권업모범시험장을 農事시험장으로 개칭하고 南鮮支場, 西鮮支場, 北鮮支場, 木浦支場 설치
1930. 국내 최초 흥남화학비료 공장 설립
1930.11.15. 조선미곡창고주식회사(조선미창) 설립
1931.09.18. 만주사변(~1932.02.18) 일본이 유조구사건을 계기로 만주를 침공
1932. 총독부 일본에서 소요되는 木花 10억톤을 모두 조선에서 공급하기 위해 棉作 장려계획 마련
1932. 자작농창정(自作農創定)계획에 의하여 각지에 檢定 자작농 선정
1932.06.30. 총독부, 각 道 郡 邑에 농촌진흥회 설치운동 개시
1933. 對日 米곡 수출이 총생산高의 半을 초과 (1819만石 수출)
1933.03. ‘농가갱생계획’ 수립
1933.10.21. 미곡통제법 공포, 시행(11.01) 미곡의 수량 또는 시가를 조절하고 미곡을 통제
1934. 총독부 小作官 110명을 각 道郡에 배치하여 小作쟁의에 대비
1934.04.11. 조선農地令 공포(小作 계약 최저 3年, 소작지 임차권 상속 등)
1935.06.15. 국내 최초 중앙도매시장인 부산중앙도매시장 개설
1936. 한국 및 대만의 미곡통제를 위한 미곡 自作管理 공포
1937. 중일전쟁의 발발로 전시체제 하의 식량과 농촌의 통제 강화
1937.03.09. 조선중요비료業 통제令 공포
1938. 조선農地令 실시이후 小作쟁의의 양상이 단체쟁의에서 개인쟁의로, 소작료 감면보다 소작권 확보 목적으로 변하였다고 道小作官회의에서 보고
1938.01.08. 조선임시비료배급 통제令 공포
1938.04.01. 국가총동원법 공표, 시행(05.05), 폐지(1946.04.01)
1938.05.30. 조선토지개량협회 설립
1939. 조선미곡 임시증산 5개년 계획 확정(목표 2600萬石)
1939.03. 경성중앙도매시장 개설
1939.05.05. 「국가총동원법」적용으로 농촌에서의 강권적 노동력 동원과 식량 공출 시작
1939.04.12. 미곡 최고판매價格制 실시
1939.10.04. 조선白米취체규칙 공포(7분도미를 상식으로)
1939.12.11. 조선미곡도정제한규칙 공포, 한국에서는 가뭄으로 1000萬石 감수
1940. 제3차 産米증식계획
1940.01.27. 경성부 식량배급조합 결성
1940.07.20. 조선잡곡등배급통제규칙 공포, 잡곡에 대한 배급통제 시작
1940.07.13. 조선수리조합연합회 설립
1940.10.30. 도 단위의 양곡배급조합과 조선양곡중앙배급조합 설치
1940.12.05. 전시통제를 위한 ‘부락계획’ 수립, ‘농산촌생산보국운동’ 실시
1940.12.27. '조선미곡배급조정령'과 '미곡배급통제에 관한 건'을 공포하여 본격 미곡통제 실시
1941. 각도의 양곡배급조합을 해산하고 각도 양곡통제회사를 설립
1941. 농산물 出제도 강제로 시행, 농림국 茶류 통제방침 결정
1941.02. 식량증산을 위한 「임시농지 등 관리령」과 「임시농지가격통제령」실시
1941.08.12. 1942미곡연도 식량대책 발표
1941.10.03. 일본정부는 조선미에 관한 사항을 결정, 미곡생산자에 대한 장려금 지급, 매입가격 인상 등
1941.10.23. 통제미에 대해 구체적인 장려금 교부대책을 마련
1941.11.28. 임시정부 대한민국건국강령 발표, 토지국유화와 경자유전(耕者有田)원칙
1941.12.08. 태평양전쟁(~1945.08.15)
1941.12.16. 배급통제에 관한 '물자통제령' 공포
1942. 조선농지 개발영단令 공포, 식량관리법 公 쌀 代用으로 국수류 배급
1943.01.13. 조선농지개발영단 설립
1943.06.21. 조선식량관리특별회계법 시행, 주요 식량의 생산량과 수입 식량 전부를 특별회계로 매입
1943.08.09. 조선식량관리령 제정·공포, 미곡을 포함한 주요 식량의 전면적인 국가관리 시작
1943.10.13. 조선식량영단 설치
1944.06.17. 미곡 강제공출제 실시, 일본내 식량난 타개를 위해 실시
1945.08.15. 일본 항복, 2차 세계대전 종결, 조선해방
1945.11.10. 미군정 소작료 3‧1제 실시, 최고소작료가 수확량의 1/3을 초과하지 못함
1945.12.08. 全國農民組合總聯盟(全農) 결성대회. 신문기자단, 미곡가격 조정건의
1946.01.01. 쌀 공정가격제도 실시(斗당 74원)
1946.01.08. 서울시민, 쌀값 폭등 항의시위
1946.01.25. 미군정청, 미곡수집 및 통제정책 추진
1946.02.01. 미군정청, 米穀수집령 발동, 강제매수 실시
1946.02.21. 미군정청, 신한공사 설립하여 일본인 소유 농지 귀속
1946.03.05. 북한 토지개혁 실시, 무상몰수. 무상분배
1946.03.15. 미곡증산 5개년계획안 수립
1946.04.09. 식량대책임시조치안 발표
1946.09.18. 5升 600원으로 쌀값 급등
1946.10.03. 군정청 광장서 쌀요구 시위
1946.11.15. 미곡밀수출 등의 처벌에 관한 법령 공포
1947. 농림통계연보 창간호 발간
1947.03. 4H구락부(클럽) 결성
1947.12.15. 미 군정청, 농업기술교육령 공포 및 농사개량원 발족
1948.01.18. 식량부족한 세농민에 환원미 40만석 배급
1948.07.22. 농림부직제 신설, 초대 농림부장관 조봉암 임명
1948.08.15. 대한민국 건국, 하지중장 미군정 폐지 발표
1948.09.14. 양곡공출제(糧穀供出制) 폐지
1948.09.29. 이승만대통령, 미곡공출계속 실시요청 담화 발표
1948.10.15. 양곡관리법 시행령, 양곡매입법 시행령 공포
1948.10.19. 대한식량공사 발족
1948.11.13. 농업기술원 신설, 식량자급 목표
1948.12.01. 농림부, 양곡 최고판매가 결정(가마당 2430원)
1949.01.06. 농사개량원을 중앙농업기술원으로 개칭
1949.04.05. 식목일 제정
1949.06.18. 대한수리조합연합회 설립
1949.06.21. 농지개혁법 공포, 자영농 육성과 농업생산력 증진을 위해 농지를 농민에게 유상분배하는 법안을 공포
1949.07.22. 식량임시조치법에 의해 양곡 자유시장 허용
1950. 농협은행·농협협동조합 발족
1950.02.16. 양곡관리법 공포, 양곡매입법과 식량임시긴급조치법 대체
1950.03.10. 식량절약에 관하여 농림․내무․법무․재무․보건부 장관 공동담화 발표
1950.03.25. 농지개혁법 시행령 공포(대통령령 제294호)
1950.04.06. 농지개혁 실시(1950~57)
1950.04.21. 양곡관리에 관한 특별회계법 국회통과
1950.11.14. 양곡관리법 시행령 공포
1950.12.07. 법률 제171호로 양곡증권법 공포
1951.03.22. 양곡증권법 시행령(대통령령 제462호) 공포
1951.06.22. 중앙도매시장법 제정
1951.09.26. 임시토지수득세법에 의해 ‘농지세 물납제도’ 및 ‘양비교환제도’ 실시
1951.12.05. 대통령령 제578호로 쌀 5분도정제한 발표
1952. 입도선매 부채정리자금 방출
1952.01.25. 양곡소비절약에 관한 건 공포(대통령령 제603호)
1952.04.01. 농지개혁사업 특별회계법(법률 제241호) 공포
1952.04.28. 식량증산운동 추진
1953. FAO 한국농업 5개년 원조액 합계 5억 3천만 달러 확정
1953.02.06. 양수기설치 5개년계획 수립
1953.06.09. UNKRA계획에 의한 비료공장건설 사업 착수
1953.06.30. 식량증산 및 수리시설 복구를 위한 원조협정 체결(정부-UNKRA-유엔군사령부)
1954.09.02. 농촌에 입도선매(立稻先賣) 성행, 이 대통령 입도선매 방지책으로 정부매상대금 선대 지시
1955.05.31. 대한민국과 미국 간의 잉여농산물 원조협정 체결
1955.10.22. 충주비료공장 착공, 준공(1961.04.29) 착공일 9.1일 확인???
1956.03.29. 농지개량 5개년계획 수립
1956.06.16. 양곡관리법에 의하여 소맥분의 가격 및 매매제한 개시
1956.06.27. 미공법 480호에 의한 56년도 미 잉여농산물 도입요청
1956.11.19. 농림부, 개간 및 간척사업 5개년계획 수립
1956.12.17.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1957.02.12. 농사교도법 공포 및 농사원 설치
1957.02.14. 농업협동조합법 및 농업은행법 공포
1957.04.01. 절양농가에 대한 대여양곡 조속 방출 지시
1957.04.28. 단양석회비료공장 준공
1957.07.06. 1958년을 기점으로 한 맥류증산 5개년계획 수립
1957.08.19. 1958년을 기점으로 한 자급비료증산계획 수립
1957.08.28. 농약관리법 공포
1957.09.05. 식량증산 5개년계획과 병행 실시할 외곡도입 5개년계획 수립
1957.11.11. 농지개량 5개년계획 수립
1957.12.27. 농업증산 5개년계획 수립(1958~1962)
1958. 「농어촌고리채정리법」성안
1958.02.05. 미공법 제480호에 의거한 1958년도 잉여농산물협정 체결
1958.02.26. 절양농가에 대한 대여미 25만석 배정
1958.04.01. 농업협동조합, 농업은행 출범
1958.07.11. 퇴비증산운동실시요령 시달
1958.08.01. 나주비료공장 착공(준공 1962.12.28)
1959.01.11. UNDP(UN개발계획기구) 및 UNSF(UN특별기금) 가입
1959.05.06. 제4회 전국수리조합 미곡증산경진회 및 증산관계자표창식 거행
1959.06.19. 사방사업 8개년계획 수립
1959.06.29. 한미 잉여농산물 협정 조인
1959.09.23. 110개 지구의 수리사업 설치공사 준공계획 수립
1960.01.02. 식량생산의 증강, 농경지의 확대 등 1960년도 농림시책 6대목표 설정
1960.02.04. 농림시책 6대목표의 농산물 생산계획 수립(미곡증산 5개년계획, 기타 곡류증산 5개년계획 등)
1960.02.26. 충주비료공장 요소생산 개시
1960.03.15. 사방의 날 지정, 식목일이 사방의 날로 대체
1961.01.27. 가경유휴지 및 간석지조사 3개년계획 수립
1961.03.20. 식용작물증산 5개년계획 수립
1961.04.29. 충주비료공장 준공, 착공(1955.10.22)
1961.05.10. 농지개량사업 5개년계획 수립
1961.05.31. 농지개혁사업 정리요강 발표
1961.06.10. 국가재건최고회의 농어촌고리채정리사업 실시 ▷통합 「농업협동조합법」제정
1961.07.12. 농어촌 고리채(高利債)정리법 시행령 공포
1961.08.15.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발족
1961.08.31. 수리조합의 합병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수리조합 통합
1961.11.07.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1~65) 수립
1961.11.26. 경제개발 5개년계획 지표 중 비료 100%, 쌀 30.9%를 증산목표로 계획
1961.12.31. 토지개량사업법 제정
1962. ‘제3차 농업증산5개년계획’ 실시
1962.01.05.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1962.01.15. 주요농작물종자법(법률 제975호) 공포
1962.01.22. 농업증산 포상제도 추진
1962.02.09. 농산물 검사법 개정
1962.02.14. 농지개량사업 5개년계획 발표
1962.02.22. 개간촉진법(법률 제1028호) 공포
1962.03.21. 농촌진흥법 공포(농사교도법 대체)
1962.03.15. 서울 농산물공판장 개장
1962.03.29. 농촌진흥청 직제 공포
1962.04.01. 농촌진흥청 설립
1962.06.10. 제2차통화개혁(10대1로 평가절하;‘환’을 ‘원’으로 변경)
1962.12.28. 호남비료 나주공장 준공
1963. 동력 경운기 생산·보급
1963.03.05. 한일회담 재산청구권 문제 타결(무상 3억 달러, 차관 3억 달러)
1963.06.20. 식량긴급대책위원회 설치
1963.07.18. 식량소비제한조치에 따른 주류, 차류, 제과, 제이(엿), 조미료 등에 대한 생산제한조치
1963.12.10. 1962년 대가뭄에 따른 쌀 및 전력수급 차질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대폭 수정
1964. 경지정리사업 시작
1964.01.14. 농림부 식량증산, 한해대책, 축산진흥, 농어민소득증대 등 4대 농업시책 발표
1964.02.13. 쌀의 우량종자 보급을 위해 보급종자 152,000석 생산계획
1964.03.09. 산성토양개량을 위해 농용석회 30만M/T 책정
1964.03.13. 식량증산 7개년 계획 시행
1964.07.24. 여름퇴비 15백만M/T 증산목표량 시달
1964.08.04. 농업증산대책본부회의에서 식량증산 7개년계획 최종안 확정
1964.08.15. 농민신문 창간
1964.11. ‘전국토양조사사업(1964-69)’ 실시
1964.11.29. 울산 제3비료공장 기공, 준공(1967.03.14)
1965.02.02. 7개년계획 지원 위한 법제정 추진(농사개량자금지원법, 농작물재해대책법, 지력증진법, 농경지이용증진법)
1965.03.18. 잠업증산 5개년계획 확정
1965.04.07. 새 육성 품종 풍광, 수원85호와 도입품종 농림17호를 장려품종으로 결정
1965.07.09. 논 85%를 수리안전화하는 전천후·농업용수자원개발 9개년계획 수립
1965.08.15. 농협, 새농민운동 전개 선언
1965.08.31. 대통령 보리 배증산운동 강력추진 지시
1965.12.02. 식량증산 5개년계획 확정
1966.03.15. 지력증진법(법률 제1,766호) 공포
1966.04.23. 화전정리에 관한 법률 제정·공포
1966.05.16. 농협대학 개교
1966.06.24. 보리소비대책으로 보리혼식 장려
1966.07.29.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1967.~1971)
1966.08.03. 농산물가격안정기금법 제정
1966.10.08. 소맥자급 5개년계획 발표
1966.10.17. 가톨릭농민회 창립
1966.10.27.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 수립
1966.11.23. 소맥자급도향상 5개년계획 발표
1967.01.16. 농업기본법(법률 제1,871호), 농업재해대책법(법률 제1,874호) 공포
1967.04.09. 진해 제4비료공장 준공
1967.06.05. 식생활개선을 위한 분식장려방안 마련
1967.12.01. 농어촌개발공사 발족
1968. ‘고미가정책 실시
1968.04. ‘제1차 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1968~71)’ 추진
1968.04.24. 농촌근대화 3개년계획 확정
1968.04.30. 식량증산계획(1968~1970년) 수정에 따른 곡종별 생산계획 확정
1968.07.29. 축산개발 4개년계획 확정
1969. 통일벼 개발 및 생산력 검정시험
1969.01.23. 무미일(분식의 날) 시행, 매주 수·토요일 11~17시까지 쌀을 원료로 하는 음식판매 금지
1969.02.07. 지하수개발공사 설립
1969.02.14. 이중맥가제 실시, 보리쌀 이중가격제 결정
1969.02.22. 농업기계화 8개년계획 확정
1969.04.20. 무상원조중단에 대비 밀증산 7개년계획수립, 자급율 75% 목표
1969.06.04. 절량농가대여량곡제 폐지방침발표
1969.07.20. 농협, 상호금융 업무 개시
1970.01.04. 농촌근대화 10개년계획 확정
1970.01.09.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에서 농공병진정책 강력 추진하여 1970년대 말에는 식량의 완전 자급자족을 발표
1970.01.31. 전국 최초 농협 연쇄점 개점, 경기 이천 장호원 농협
1970.02.07. 농촌근대화촉진법 제정 및 농업진흥공사 설립, 토지개량사업법 대체
1970.04.22. 새마을운동 시작
1970.08.12. 양곡관리기금법(법률 제2,237호) 공포
1970.09.14. 농업기계화 5개년계획 확정
1970.10.13. 이중미가제 실시
1970.12.13. 1971년부터 쌀과 보리에 대한 이중곡가제 강화하기로 결정
1970.12.30. 농촌진흥청, 신품종 통일벼 육성
1971. 통일벼 품종 완성(서울대 허문회 교수) ▷통일벼 장려품종으로 보급 시작 ▷‘농어민신용보증제도’ 도입
1971.01.14. 양곡자급 5개년계획(1972~1976년) 수립
1971.02.09. 제3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발표
1971.04.06. 농업기계화 5개년계획 발표
1971.06.01. 전국 최초 농산물집하장 개장(충북 옥산)
1971.09.28. 농지개량조합협회 설립
1972.02.09. 녹색혁명추진(통일벼 개발)
1972.02.22. 통일쌀 생산목표를 896,000M/T으로 확정하고 지역별 생산량 책정․시달
1972.03.14. 쌀소비절약과 유통질서 확립에 관한 행정명령 발동, 잡곡혼식 20→30%
1972.03.16. 농협 대하금리 7% 대농민 대출금리 12%로 인하(경제장관회의)
1972.03.28. 1973년도 식량증산촉진대회 개최
1972.04.23. 식생활개선운동으로 시범마을 126개소 지정, 농촌혼분식운동 확대
1972.05.04. 식량증산협조회의 개최
1972.12.18. 농지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 ▷양곡관리법 개정으로 수매가와 수매량 결정시 국회동의제 폐지
1973. 식량파동에 대비하여 4억 1,800만 달러의 미잉여농산물 장기도입계획 마련
1973.02.06. 농수산물 도매시장법 제정에 따라 소관 업무가 상공부에서 농수산부로 이관
1973.03.28. 산림청을 내무부로 이관하고 농림부를 농수산부로 개칭
1973.04.12.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차관협정 체결
1973.05.07. 모내기, 추수 등 영농작업 2주일 앞당기기 시한영농 세부계획 확정․시달
1973.06.12. 쌀 다수확시상제의 실시대상농가 및 지역선정 등 세부사업계획 확정
1973.06.30. 화전정리 5개년 계획 수립, 화전민 이주 및 화전 복구
1973.07.11. 중소규모 수리시설 확충사업 추진
1973.08.07. 보리 조숙다숙성 신품종 밀양6호 개발
1974. 화전정리 5개년계획(1974~1978) 발표
1974. 농촌진흥청, 벼 신품종 조생통일 및 유신 육성 ▷쌀 3천만 석 생산 달성 ▷잠사파동 발생
1974.03.04. 보온못자리용 자재 폴리에틸렌 4,100톤 공급방침 수립
1974.06.07. 한일 농업기술협정 서명
1974.06.17. 농업기계화촉진법 제정
1974.06.24. 농산물증산책의 일환으로 종자갱신사업확대계획 마련
1974.06.27. 혼․분식 장려운동을 전국적으로 강력히 추진
1974.08.07. 산업기지조성을 위한 농지잠식 불허방침 마련
1974.11.28. 양곡의 소비절약을 위해 정부미의 쌀․보리 혼식비율을 7대3으로 조정
1974.12.03. 농산물 종합공판장(슈퍼마켓) 개장(서울 신촌)
1974.12.04. 양곡소비절약시책을 위한 행정명령을 개정, 전국의 쌀 도정도를 종래의 9분도에서 7분도로 인하
1975. 경제기획원 1975년부터 5년간 농업개발 위해 8개 사업에 10억 달러 투입 계획 발표
1975.01.21. 농어촌지역 상수도시설 5개년계획 추진
1975.03.24. 유신(이리 317호), 영남조생(밀양16호), 통일찰(수원254호) 등 3개 품종을 새 장려품종으로 선정
1975.07.01. 농협, 농산물유통 정보센터 업무 개시
1975.09.04. 새 품종벼 유신 생산량 13,000,000톤 전량 수매
1975.11.20. 통일벼보다 미질이 좋고, 다수확 품종인 밀양21호와 밀양23호 개발 ▷1977년부터는 통일벼를 없애고 신품종으로 전면 대체 계획
1976. 주곡 자급 달성, 쌀 자급률 113% 기록 ▷벼 신품종 노풍, 내경, 밀양30호 육성
1976.02.24. 병충해방제 강화를 위해 전국 주요지역에 식물방역소설치 계획 발표
1976.03.01. 미곡증산 34백만석 돌파를 위한 벼농사 250일 작전계획 시달
1976.03.15. 미호천유역 종합개발사업계획 확정
1976.04.14. 신품종 밀양21, 23호를 전국 364개 집단재배단지에 파종토록 긴급 보급
1976.06.18.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77~1981) 발표
1976.07.06. 소맥 신품종 밀양5호 개발
1976.10.14. 영산강유역 장성, 담양, 광주, 대초 등 4대호 준공
1976.10.28. 안동다목적댐 완공
1976.12.31.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정·공포
1977. 통일벼 개발 등으로 녹색혁명 달성(쌀 수량 494kg/10a) ▷쌀 4,170만 섬을 생산해 세계 최고 생산성 기록
1977.01.11. 무미일(無米日) 폐지, 쌀을 먹지 않는 날(분식날)
1977.05.27. 경기도 수원시에 맥류연구소 준공
1977.06.24. 내한다수성 보리 수원183호 개발
1977.08.04. 여수 남해화학 여수공장 완공
1977.10.14. 쌀 7분도정제 폐지
1977.11.30. 쌀 7만M/T을 인도네시아에 대여하기로 양국 정부간에 대여계약 체결
1977.12.08. 쌀막걸리 제조 허가, 14년만에 쌀 막걸리 재등장
1978. ‘농업인후계자육성사업’ 시작 ▷「농산물 수입자유화에 관한 기본방침」확정하고 3차에 걸친 농산물수입자유화 조치 단행
1978.04.0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진흥회 설립
1978.05.10. 녹색혁명 기념탑 제막식
1978.09.26. 노풍 등 신품종 재배로 인한 피해보상기준 확정
1978.12.05. 농업기계화촉진법 제정
1979. 1978년에 이어 통일계 계통의 벼 병충해 극심
1979.04.11. 반상회와 도시새마을운동을 통해 혼식을 적극 장려하고, 요식업소 등에 대한 점검 실시
1979.04.17. 경제안정화 종합시책 발표
1979.10.26. 삽교지구 농촌개발 제1단계 사업 삽교호 준공
1980. 농토배양사업을 위한 세부 정밀토양조사 실시(1980~89) ▷냉해로 쌀 생산량 큰 폭 감소 및 다량의 외국산 쌀 수입
1980.01.04. 보리혼식을 강화하기 위해 시․도단속반을 동원, 전국 요식 및 숙박업소의 혼식이행 여부 단속, 시․도별 혼식장려추진대회 등 범국민적 혼식캠페인 전개
1980.04.10. 필리핀에서 증식한 신품종 이리342호 등 5개품종 105M/T, 농가에 공급
1980.05.07. 보리 소비촉진을 위한 혼합분시식회 개최
1980.06.09. 지력증진을 위한 퇴비증산운동 전개
1980.07.18. 전국 시장․군수,읍․면장과 초교 교장에 보리혼식 적극 참여당부 장관친서 발송
1980.08.22. 퇴비증산 50일작전과 병충해방제 20일작전 전개
1980.08.25. 전국 요식업소 보리혼식 의무화, 9월1일부터 일반음식점 혼식카드 비치 의무화, 단속 강화
1980.09.12. 냉해와 병충해에 강한 다수성 볍씨 13,400M/T 전국 희망농가에 공급
1980.10.04. 병충해와 냉해의 근본적인 극복을 위해 벼의 식부체계 전면개선
1980.10.28. 농토배양 10개년계획 마련
1980.11.05. 농어민후계자육성기금법 제정
1980.11.17. 식량절약촉진대회 개최
1980.12.02. 대청댐 준공
1980.12.06. 식량절약을 위한 범시민운동 전개
1980.12.09. 식량의 자급도 향상을 위한 범국민생활운동 전개
1981. 새마을 기계화영농단 출범
1981.01.01. 축협 분리 및 농협 계통조직 2단계 개편(중앙회-조합)
1981.01.19. 보리음식 27점 개발, 보리요리책자 3만부 배포
1981.02.17. 식량증산과 양곡소비절약 및 식생활개선 범국민운동 전개
1981.02.28. 농어민후계자 육성사업 시작
1981.05.14. 주곡자급 7개년계획 확정
1981.05.18. 1955년 이래 26년간 지속된 PL480호에 의한 농산물도입 완전 종결
1981.09.29. 주곡자급의 실현 등을 목표로 하는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발표
1981.11.30. 벼 9개품종, 보리 3개품종 등 1982년도 신규장려품종 지정
1982. ‘소득증대10대전략개발계획’ 수립
1982.01.01. 제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1982~86) 추진
1982.04.06. 신품종 볍씨 밀양54호, 당풍 등 8개품종 필리핀에서 국내 반입
1982.05.14. 식생활개선 범국민운동촉진위원회 창립
1982.10 농어촌개발법 제정
1983. 추‧하곡 수매가 동결 및 밀 수매 중단
1983.02.19. 복합영농 시범사업 실시
1983.06.15. 다목적 동력경운기 개발
1983.07.23. 보리혼식이행상황 단속 실시
1983.11.10. 주곡의 자급을 1987년에서 1986년으로 앞당기는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수정계획 발표
1983.12.31.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 제정.공포
1984.~1986. 소값파동 발생, 육우 수입에 따른 소값 폭락
1984. ‘농공단지 개발사업’ 시작 ▷경제기획원 ‘농정의 전환(안)’ 발표
1984.06.29. 식량증산상황실을 병충해방제상황실로 변경
1984.10.10. 미호천 농업종합개발사업 준공
1985. 경제기획원 농공지구 후보지 22개 지역 선정
1985.05.31. 가락동 농수산물 도매시장 개장
1985.09.14. 농어촌지역종합개발연구단 출범 ▷충남 공주군, 전남 강진군, 경북 청송군에 대한 ‘농어촌지역종합개발계획’ 수립
1985.10.30. 농사시험연구 중장기계획 수립
1986.03.01. 농기계용 면세유 공급 개시
1986.03.05. 농어촌종합대책 발표, 소값 파동 대책
1986.09. UR협상 시작, GATT 제8차 다자간 협상
1987. 농어촌지역종합개발 방식을 ‘제2차 국토종합개발 수정계획(1987-1991)’에 반영
1987.03.16. 농어가부채경감대책, 농어촌경제활성화대책 추진(12.10)
1987.11.18. 농업박물관 개관
1987.12. 전국농어민후계자협의회 창립
1988. ‘3개년 농림수산물 수입자유화 예시계획(1989∼91)’ 발표
1988.01.01. 농어촌 지역의료보험 실시
1988.06. 양곡유통위원회 신설
1988.12.31. 농협 조합장 및 중앙회장 직선제 도입
1989.10.27. GATT의 BOP(국제수지) 조항 졸업
1989.03.18. 농어촌발전종합대책 수립 및 발표
1989.04. 농어촌발전종합대책 수립
1989.08.01. 농협 신토불이 운동 전개, 우리 농산물 애용운동
1989.12.30. 농어가부채경감특별조치법 공포
1989. 농수축산 수입 자유화
1990. 농업법인 제도 도입
1990.04.07.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 제정, 농어촌진흥공사 설립
1990.04.24. 전국농민회총연맹 결성
1990.07.02. 농어촌진흥공사 설립
1990.08.01. 농어업재해대책법 발효
1991. ‘3개년 농림수산물 수입자유화 예시계획(1992∼94)’ 발표 ▷면 단위 ‘농어촌정주생활권개발사업’ 추진
1991.07. 농어촌구조개선대책(42조원 농어촌구조개선 투융자계획) 발표
1991.11.11. 쌀수입 개방 반대 서명운동 전개
1992. '42조원 농어촌구조개선사업’ 추진
1992.03.31. 농협 최초 미곡종합처리장 준공(안계농협)
1992.04.01. 수입농산물 원산지표시제 시행
1992.12.07. 쌀개방 저지 농협 대표단,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위
1993. 청와대 농림해양수석비서관 신설
1993.06.08. 신농정 5개년계획 발표
1994.01.01. 수입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의무화
1994.02.01. 농어촌발전위원회 구성
1994.03.24. 농어촌특별세법 제정
1994.04.15.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타결
1994.05.01. 「농안법」파동 발생
1994.06.14. 농어촌발전대책 및 농정개혁 추진방안 확정
1994.12.14. 농림수산사업 통합실시요령 제정
1994.12.15. 농협 하나로클럽 개장(서울 창동)
1994.12.22. 농어촌정비법 제정, 농촌근대화촉진법 대체
1995. 농어촌특별법 제정 ▷농특세 재원에 의한 100% 국고보조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시행
1995.07. 국민연금의 농어촌지역 확대
1996.01.04. 농림수산부, 30개 품목 농축수산물 수입자유화 발표
1996.08. 한국농어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농연) 조직
1996.11.07. 우수농산물 생산을 위한 '흙 살리기운동' 선포
1996.11.11. 농업인의 날 지정
1997. ‘가축공제 시범사업’ 실시 ▷‘경영이양 직접지불제’ 도입 ▷‘2단계 농산물 유통개혁 대책’ 발표
1998. ‘농업・농촌발전계획’ 발표 ▷‘3단계 농산물 유통개혁 대책’ 발표 ▷‘농어가부채대책’ 발표
1998.03.26. 양재동 농산물 물류센터 개장
1999.02. ‘경영이양직접지불제’, ‘친환경직접지불제’ 실시
1999.02.05. 농업・농촌기본법 제정·공포
1999.04.30. 농업·농촌 투융자 실천계획(45조원 투융자 계획)’ 수립
1999.08.19. 농어민 부채대책 발표
1999.12.01. 제4차 국토종합계획안
2000.01.01. 농업기반공사 설립 ▷한국농촌공사 설립(2005.12.29) ▷한국농어촌공사 설립(2008.12.29)
2000.07.01. 통합농협 발족, 농협‧축협‧인삼협중앙회 통합
2000.07.29. 농어촌정비법 개정, 생활환경정비사업 개발 및 시행계획에 농업기반 정비사업을 포함
2000.08.21. 중국산 납꽃개 파동
2001.01.01. 논농업 직접지불제(직불제) 도입
2001.01.08. 농어업인 부채경감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2001.01.26. 농작물재해보험법 제정·시행 및 농작물재해보험 시범사업 실시
2002. 마을단위 농촌관광사업 시작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 가입으로 화훼류 등 로열티 지불
2003.02.15. 한국-칠레 FTA 체결
2003.04.22. 국내 최초 식품안전센터 설치
2003.11.11. 농업‧농촌종합대책 수립, 총 119조원 투입
2003.12.10.~2004.03.20. 조류인플루엔자(H5N1) AI 최초 발생, 10개 시군에서 109건 발생하여 가금류 500만마르 살처분
2004.01.20. WTO로부터 10년간(2005~14) 쌀 관세화 유예 연장 협상시작 ▷10년간 관세화 유예를 인정 받음
2004.04.01. 한·칠레 FTA 발효
2004.06.06.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04.09.14. 새농촌 새농협운동 전개
2004.10.25. 농협, 농촌사랑범국민운동본부 출범
2005.01.01. 쌀소득보전직불제 도입
2005.06.20.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발표
2005. ‘신활력사업’ 도입
2006. 부채농가 경영회생 지원
2007.10.23. 「농업・농촌기본법」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으로 개정
2007.11.22. 식품산업진흥법 제정
2008.02.29. 농림부를 농림수산식품부로 확대 개편(식품산업 정책 본격 도입)
2008.12.15. 기초생활권정책 추진
2009. 농협중앙회 신‧경분리 확정
2009.02.14. 농협주유소 개장
2009.04.08. 농협, 평택물류센터 개장 하나로마트 통합 배송
2009.04.22. 포괄보조금제도 도입
2009.05.27. 농어업 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009.05.29. 농협, 울산유통센터 개장
2010.01.01. 한·인도 FTA 발효
2010.05.25. 농식품모태펀드 도입
2010.10. 배추파동 발생
2010.11.28.~2011.04.21. 대규모 구제역 발생(돼지 322만 두 매몰)
2011.01.01. 농지연금 실시
2011.07.01. 한·EU FTA 발효
2011.07.21. 「김치산업 진흥법」, 「전통주 등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외식산업 진흥법」 제정
2012.02.23. 귀농·귀촌 종합대책 발표
2012.03.02. 농협중앙회 경제지주와 금융지주로 사업분리
2012.03.15. 한·미 FTA 발효
2013.05.01. 한·터키 FTA 발효
2013.05.27.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 발표
2013.07.13. 지역행복생활권정책 추진
2013.10.01.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2013~2017) 발표
2014.06.25. FTA 피해보전직불제 도입
2014.08.01. 농촌진흥청과 소속기관을 전북혁신도시(전주시)로 이전
2014.09.22. 한국농식품유통공사, 전남 나주혁신도시로 이전
2014.10.14. 한국농어촌공사 신청사 입주, 전남 나주혁신도시로 이전
2014.11.25.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기공, 준공(2018.03.27)
2014.12.12. 한·호주 FTA 발효
2015.01.01. 쌀 관세화 체제 이행(관세율 513%) ▷한·캐나다 FTA 발효
2015.01.06. 농업수입보장보험 실시(콩, 포도, 양파 등 3품목 대상)
2015.08.0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남 나주혁신도시로 이전
2015.12.20. 한국, 중국·뉴질랜드·베트남 FTA 발효
2016.06.24. 농어촌 상생기금 설치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2016.07.15. 한·콜롬비아 FTA 발효
2016.12.01. 농업인안전보험 시행
2017.02. 농협 사업구조개편 완료
2017.03.21.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2018∼22) 수립
2018.01.05. 한-미 FTA 개정협상 개시
2018.03.27.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준공, 기공(2014.11.25)
2019.01.01. 한-미 FTA 개정의정서 발효
2019.07.01.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시행
2019.09.01. 푸드플랜(food plan) 정책 본격 도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업·농촌100년
@서울역사편찬원 | 서울2천년 연표 검색
@국가기록원 | 근대 사업사 연표(1894~1945)
@국가기록원 | 식량증산 연표
@농협 | 농협소개 > 연혁